본문 바로가기
책리뷰 스퀘어

<고지혈증, 약을 끊고 근본 치료하라 -2> 선재광#고지혈증#한의학 치료

by 이스트스퀘어 2024. 6. 4.

한의학 박사 선재광 저 <고지혈증, 약을 끊고 근본 치료하라> 책은 고지혈증의 잘못된 상식이 무엇이고, 약 없이 고지혈증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기존에 약에만 의존했던 고지혈증 치료에 대해 다른 치료방법을 제시한다. 고지혈증 관련 서양의학과 한의학이 공통적인 제시하는 해결책은 생활습관의 개선, 식이요법이다. 이번에는 고지혈증에 필요한 생활습관, 식이요법과 한의학 치료 사례에 대해 정리했다. 

 

 

<고지혈증, 약을 끊고 근본 치료하라>

 

생활습관의 변화로 고지혈증을 치료하자. 

고지혈증을 스스로 이겨내려면  가장 먼저 생활 습관을 바로 잡아야 한다. 인체는 '관성'이 있어서 변화를 거부하지만, 천천히 하루에 한 가지씩 바꿔가야 한다. 

 

첫 번째 습관은 수면이다. 수면 시간을 지키고 수면의 질을 높여야 한다. 

먼저, 밤 11시부터 새벽 3시까지는 숙면해야 하는 시간이다. 수면은 '최고의 보약'이라고 여기며 수면이 전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수면이 중요한 이유는 '경략의 운행' 때문이다. 수면을 하지 못하면 콜레스테롤 조절 능력이 떨어진다. 밤에 숙면을 못했다만. 낮잠을 30분 이내로 자면 좋다. 30분 이상 낮잠을 자면 동의보감에서는 기가 빠진다고 적혀있다. 

 

두 번째 습관은 독소 배출이다. 

가장 대표적인 독소는 식품 첨가물이다. 조사에 의하면 1인당 1년에 4kg에서 많게는 25kg을 섭취한다고 한다. 첨가물은 화학물질이며, 간을 비롯한 해독기간에 부담이 된다. 이 밖에 샴푸, 린스, 섬유유연제 합성계면활성제도 화학 물질이라 체내에 들어오면 독소로 작용한다. 

독소가 들어오지 못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배출도 중요하다. 독소 배출의 3가지 방법은 땀, 소변, 대변이다. 수분섭취를 충분히 하여, 땀과 소변으로 배출하고 발효식품 섭취로 변비개선에 도움이 된다. 

 

세 번째 트랜스지방을 피하자

우리가 맛있다 표현하는 음식에 트랜스지방이 있다. 

제과류, 가공식품, 튀김요리 등 트랜스지방 대표식품이다. 한의학에서 트랜스지방은 기혈의 순환을 막아 어혈, 식적, 담음을 일으켜 원활한 에너지 흐름을 방해하는 최악의 식품이다. 

 

네 번째 설탕을 줄이자.

동서양의학의 정설 중 하나는 설탕의 과잉 섭취가 심장병의 원인이라는 것이다. 미국 FDA에서는 1일 기준 성인남성 37g을 권고하지만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에 따른 면 2023년에는 하루 섭취량이 100g이 넘을 것을 추측한다. 

한의학에서 단맛을 금지하지 않는다. 정제된 단맛이 아니라. 자연의 단맛 과일과 채소를 통해서 섭취하기를 권고한다. 

 

다섯번째 스트레스는 혈관건강에 치명적이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맥박과 혈압이 상승한다. 스트레스는 직접적으로 혈관에 염증을 유발한다. 

 

여섯 번째 고지혈증 대처 운동법

운동의 핵심은 '유산소 운동을 통해 담음, 식적, 어혈을 없애는 것'이다. 저녁식사 후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정도 운동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동시에 했을 때 체지방과 뱃살 감소 효과가 더 좋다. 

 

내 몸을 바꾸려면 식이요법이 필요하다. 

콜레스테롤 조절에 도움 되는 육류 섭취법

돼지고지는 양파, 새우젓, 표고버섯과 함께 먹어야 몸에 좋은 작용이 배로 늘어난다. 양파는 지방을 녹인다. 새우젓의 효소는 소화작용을 도와주고, 표고버섯은 콜레스테롤을 줄여준다.  소고기는 된장, 참기름과 함께 먹자. 된장에는 단백질 분해 효소가 있어 쇠고기 소화를 돕고, 참기름은 식물성 기름이라 콜레스테롤이 혈관 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여성에게 좋은 닭고기는 인삼, 대추와 함께 먹으면 좋다. 

 

혈액 건강을 지키는 자연식품

나토키나아제는 혈관 청소로 혈류를 개선에 도움 받을 수 있다. 나토키나아제는 '낫토'에서 유래된 물질이다. 등 푸른 생선은 혈중 중성지방을 낮춰 혈전을 예장하며, 채소는 혈중 독소 및 콜레스테롤 제거로 각종 혈관 지병을 예방한다. 

 

뇌혈관을 망치고 치매를 부르는 식품들 

미국 심장학회에서는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과 같은 혈관 질환의 원인 질환이 혈관성 치매 발병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라고 발표했다. 

등 푸른 생선이 좋은 식품이지만 수은 함량이 높은 생선을 주의해야 한다. 참치, 고래등 오래 사는 생선은 많은 수은을 몸체에 축적한다. 반면 크기가 작은 생선인 멸치, 까나리 등에는 수은이 적다. 

 당독소을 주의해야 한다. 당독소는 120c 이상의 고온에서 굽거나 튀기거나 볶을 때 당과 단백질이 결합되어 변형된 유해 물질이다. 

 

 

이 밖에도 한의학치료 관련 '척추경혈운동법'과 고지혈증 치료에 도움이 되는 주요 경혈점들이 소개되어 있어 매우 유용하다.

또한 고지혈증에 효과 있는 36가지 약재와 처방내용도 매우 유익하다. 

반응형